“공과금이 너무 부담돼요”… 올해는 크레딧로 숨통 트일 수 있어요
전기·가스·수도요금, 4대 보험까지 한 달 고정비가 버거울 때가 많습니다. 그래서 2025년엔 정부가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(최대 50만원)을 마련했죠. 신청 자격과 기간, 카드 등록부터 실제 결제 차감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 덤으로 하반기 소비 진작책인 상생페이백과 전 국민 대상 민생회복 소비쿠폰도 핵심만 쏙 담았습니다.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
- 지원대상: 2024년 또는 2025년 연 매출 0원 초과~3억원 이하, 2025년 5월 1일 이전 개업해 현재 영업 중인 소상공인
- 제외업종: 대기업·프랜차이즈 직영, 유흥·사행성, 담배중개, 가상자산 매매·중개 등 정책자금 제외 업종
- 지원내용: 50만원 크레딧을 선택 카드(신용·체크·선불)에 적립, 결제 시 자동 차감
- 사용처: 공공요금(전기·가스·수도) 및 4대 보험료(국민·건강·산재·고용) 납부
- 신청기간: 2025년 7월 14일 09:00 ~ 11월 28일 18:00
- 사용기한: 2025년 12월 31일까지(미사용분 환수·소멸)
소상공인 상생지원금 5부제
- 5부제(초기 혼잡 완화): 7/14~7/18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
· 7/14: 4·9 / 7/15: 0·5 / 7/16: 1·6 / 7/17: 2·7 / 7/18: 3·8
- 7/19부터는 누구나 자유 신청
- 필요사항: 본인인증 가능 수단, 참여 카드사 중 결제카드 1장(등록 후 변경 불가)
소상공인 상생지원금 신청 방법
- 접속: 부담경감크레딧.kr 누리집 → 본인 인증 → 카드사 선택·등록 → 신청 완료
- 심사: 별도 서류 없이 국세청 신고자료로 자동 확인(예외 시 추가 안내 가능)
- 유의: 등록한 카드는 중도 변경 불가, 아파트 관리비 내 포함 공과금은 사용 불가
소상공인 상생지원금 사용 방법
- 전기·가스·수도요금, 4대 보험 납부 시 등록 카드로 결제하면 크레딧이 우선 차감
- 카드 청구액에 자동 반영(부족분은 본인 부담), 기한 내 미사용분은 회수 또는 소멸
- 실무 팁: 자동이체 청구일 이전에 크레딧 등록을 마치면 첫 청구부터 적용 가능
자주 묻는 질문(FAQ)
Q. 매출이 0원이면 안 되나요?
A. 0원 초과부터 신청 가능입니다. 전년도 또는 당해연도 매출이 확인되어야 합니다.
Q. 카드 바꿔 결제하고 싶어요.
A. 등록 카드 변경 불가입니다. 처음에 가장 활용 빈도 높은 카드를 고르세요.
Q. 어떤 공과금이 안 되나요?
A. 관리비 청구서에 합산된 공과금은 지원 불가입니다. 개별 납부 항목만 적용돼요.
소상공인 상생지원금 문의처
- 부담경감크레딧 전용 콜센터: 1533-0600
-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콜센터: 1533-0100(내선 2)
공과금·4대 보험은 미루기 어려운 고정비입니다. 부담경감 크레딧 50만원을 먼저 확보해 현금 유출을 줄이고, 매출이 늘어나는 가을엔 상생페이백으로 추가 절감 효과까지 챙겨보세요. 신청 기간과 사용 기한이 딱 정해져 있으니, 오늘 체크리스트부터 실행하면 연말까지 한결 가벼워집니다.